계리직공무원

[계리직공무원] 계리직공무원 합격에 필요한 2문항 - 상용한자 정복!

신명균 2019. 12. 13. 15:10
반응형

[계리직공무원] 계리직공무원 합격에 필요한 2문항 - 상용한자 정복!





오늘은 계리직공무원 시험과목중 한국사 과목에서

20문항 중 2문항 출제되는

상용한자에 대하여 알려드리고자 합니다.


과거 2008년 처음 출제된 상용한자는 2019년까지 상용한자 기출을 분석해보면

해를 거듭할 수록 범위가 넓어지고 지엽적인 부분까지 출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2문항이지만 합격에 당락을 결정할 수 있는 문제이기에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죠.


그래서 상용한자파트는 기출분석을 통하여 범위를 한정하여 접근하는 것이


 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겁니다.

광범위한 부분을 모두 공부할 수 없기에 출제빈도가 높은 위주로 준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

기출문제를 분석해보면

틀리기 쉬운 한자, 고사성어, 어조사, 속담, 논어, 독음, 한시, 금융용어까지....


다양한 범위에서 출제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




이에 꼭 알아야 할 사항 들을 올려드리니 참고하시고,

테마별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는 방법으로 공부하시면 충분히 모두 맞출 수 있는 문제들입니다.


여러분 모두 열공하여 합격의 당락을 결정하는 상용한자 2문항을 꼭 맞출 수 있도록 아자~아자~ 화이팅.





 

 

[우정사업본부 = 상용漢字] 틀리기 쉬운 한자  1. (★★★★★)

한글 표기

맞는 표기

틀린 표기

설 명

강의(*기출)

講義

講議

뜻을 풀어서 가르친다는 의미

기적

奇蹟

奇跡

사람이 불가능 한 신기한 일/ 은 발자취

납부금(*기출)

納付金

納附金

세금 등을 관청에 내는 일 / 는 주다

녹음기

錄音器

錄音機

예외적 적용 / 는 무동력, 는 동력

대기발령(*기출유사)

待機發令

待期發令

待機는 공무원의 대명(待命) 처분

망중한

忙中閑

忘中閑

바쁜 가운데 한가함 / 은 잊다

매매

賣買

買賣

관용적 순서/晝夜(주야),風雨(풍우) 

부녀자

婦女子

婦女者

婦人 女子

부록

附錄

付錄

 

사법부(*기출)

司法府

司法部

국가의 三權分立상의 하나

상여금

賞與金

償與金

노력에 대해 상금으로 주는 돈. 은 보상

세속오계

世俗五戒

世俗五誡

불교의 계율은 ''를 사용

일률적

一律的

一率的

한결같이 / 는 거느리다(), 비율()

일확천금

一攫千金

一穫千金

한 움큼에 천금을 얻음. 은 거두다

입찰

入札

立札

예정 가격을 써내어 경쟁하는 방법

퇴폐

頹廢

退廢

무너져 쇠하여 결딴남. 退는 물러나다





우체국계리직 공무원 시험안내 및 기출문제최신정보 무료로 받아보기



[우정사업본부 = 상용漢字] 필수 고사성어  2.(★★★★)

순번

고사성어

1

江南種橘 江北爲枳

(강남종귤 강북위지)

강남쪽에 심은 귤을 강북쪽에 심으면 탱자가 된다.(환경의 중요성에 대하여 말하는 고사성어) (*기출)

2

去者不追 來者不拒

(거자불추 내자불거)

가는 사람 붙들지 말고 오는 사람 뿌리치지 말라는 뜻.

3

己所不欲 勿施於人

(기소불욕 물시어인)

자신이 원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에게도 하지 말아야 한다. 

(*기출)

10

昔以甘茹 今乃苦吐

(석이감여 금내고토)

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.

다른 사람들은 안중에 없이 지조나 신의를 버리고 자신에게 이로우면 가까이하고 이롭지 않으면 멀리한다는 의미.

11

十飯一匙 還成一飯

(십반일시 환성일반)

열 사람 한 술 밥이 한 그릇 푼푼하다.

열 그릇의 밥에서 한 숟갈씩 덜면 한 그릇의 밥이 된다는 뜻으로, 여러 사람이 힘을 내면, 비용은 적게 들고 혜택이 많아지는 것을 뜻함

14

行百里者 半於九十

(행백리자 반어구십)

백리를 가는 자는 구십리가 절반이라. (*기출)

일은 시작하기보다는 끝마무리가 중요하다는 말.

18

雉之未備 鷄自備數

(치지미비 계자비수)

꿩 대신 닭






[우정사업본부 = 상용漢字] 어조사(語助辭)-3.(★★★★) 

한문에서 실질적인 의미가 없이 다른 한자를 보조하여 우리말의 조사, 어미, 의존 명사 같은 역할을 하는 한자를 어조사(語助辭)라고 한다. 대표적인 어조사로는 , ,  등이 있다.

 

.: 어조사 어, 탄식하는 소리 오

 (): 장소를 나타냄 (~, ~으로) 忠言逆於耳: 충성스런 말은 귀에 거슬린다.


 (): 사람을 상대할 경우 (~에게)

己所不欲 勿施於人: 자기가 싫어하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 말라


 (): 비교의 뜻 (~보다) (*기출)

靑出於藍而靑於藍(청출어람이청어람) : 푸른 색은 쪽 빛에서 나왔으나, 쪽 빛보다 푸르다.

苛政猛於虎(가정맹어호) : 가혹한 정치는 호랑이 보다 더 사납다(가혹한 정치의 폐해를 비유하는 말)

氷水爲之 而寒於水(빙수위지이한어수) : 얼음은 물이 이루었지만 물보다도 더 차다


 (): 수동의 뜻 萬乘之國 被圍於趙: 만승의 나라가 조나라에 포위되었다.


 (): 감탄의 뜻 於乎(오호): 감탄하는 소리

字源: 象形字. 본디 (까마귀 오)와 같음. 까마귀의 울음소리의 의성어에서 감탄사 로 쓰임.




우체국계리직 공무원 시험안내 및 기출문제최신정보 무료로 받아보기



[우정사업본부 = 상용漢字] 빈출 한자 성어 / 속담 - 4.(★★★)

한자 성어와 속담

1. 빈출 한자 성어

(1) 刻舟求劍(각주구검) : 새로운 변화에 따를 줄 모르고 어리석게 행동함.

(2) 甲男乙女(갑남을녀) : 평범한 보통 사람들  張三李四(장삼이사), 凡夫凡婦(범부범부)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樵童汲婦(초동급부), 匹夫匹婦(필부필부

(3)  姑息之計(고식지계) : 일시적인 얄팍한 계책  언 발에 오줌 누기, 미봉책(彌縫策) <*기출>

(4) 鼓腹擊壤(고복격양) : 태평 세월  擊壤歌(격양가), 太平聖代(태평성대), 比屋可封(비옥가봉)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含哺鼓腹(함포고복), 康衢煙月(강구연월)

(5) 曲學阿世(곡학아세) : 정도(正道)를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의 속물들에게 아부함.

(6) 矯枉過直(교왕과직) : 굽은 것을 바로잡으려다 정도에 지나치게 됨.

(7) 南柯一夢(남가일몽) : 덧없는 꿈, 허무한 한때의 부귀영화

(8) 累卵之勢(누란지세) : 매우 위험한 상태  風前燈火(풍전등화), 百尺竿頭(백척간두)

(9) 登高自卑(등고자비) : 무슨 일이든지 일의 순서가 있음.

(10) 莫逆之友(막역지우) : 마음이 맞아 서로 거슬리는 일이 없는 친한 벗






[우정사업본부 = 상용漢字 ] 잘못 적는 경우 - 5.(★★★)

 

한자어에서 온 단어를 잘못 적는 경우 - 1.

 

  풍지박산(×)  풍비박산() 風飛雹散  남편이 사업에 실패하자 집안이 풍비박산이 되었다.

  절대절명(×)  절체절명() 絶體絶命  지진으로 나라 전체가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했다.


 야밤도주(×)  야반도주() 夜半逃走   빚더미에 올라 앉자, 사장은 야반도주를 하였다.


 성대묘사(×)  성대모사() 聲帶模寫  코미디언은 가수의 성대모사를 왠만큼은 할 줄 알아야 한다.

 홀홀단신(×)  혈혈단신() 孑孑單身  부모를 일찍 여의고 혈혈단신으로 살아왔다.

 산수갑산(×)  삼수갑산() 三水甲山  삼수갑산에 가는 한이 있더라도 그 일만은 꼭 하겠다.





우체국계리직 공무원 시험안내 및 기출문제최신정보 무료로 받아보기



[우정사업본부 = 상용漢字] 독음 핵심정리 – 6. (★★★)

恪別 (각별)

烙印 (낙인)

杳然 (묘연)

書簡 (서간)

歪曲 (왜곡)

將帥 (장수)

姦慝 (간특)

來往 (내왕)

巫覡 (무격)

洗滌 (세척)

凹凸 (요철)

裝塡 (장전)

坑道 (갱도)

捺印 (날인)

未洽 (미흡)

猜忌 (시기)

雨雹 (우박)

措置 (조치)

醵出 (갹출)

廘皮 (녹비)

剝奪 (박탈)

諡號 (시호)

雲刻 (운각)

稠密 (조밀)

刮目 (괄목)

陶冶 (도야)

潑剌 (발랄)

愛玩 (애완)

凝結 (응결)

憎惡 (증오)

郵便(우편)

小包(소포)

金融(금융)

信書(신서)

預金(예금)

稅金(세금)





 [우정사업본부 = 상용漢字] 바람의 명칭/십이지간/가족의 호칭-7.(★★)

 

(1) [바람의 명칭]

 동풍: 春風(춘풍), 샛바람

 서풍: 秋風(추풍), 하늬바람, 갈바람, 가수알바람

 남풍: 夏風(하풍), 마파람, 앞바람

 북풍: 冬風(동풍), 된바람, 뒷바람

 

(2) 하루의 시간 - 십이지간

간 지

시 간

간 지

시 간

() 

오후 11 ~ 오전1(三更)

() 

오전 11 ~ 오후1

() 

오전 1 ~ 오전 3 (司經)

() 

오후 1 ~ 오후 3

() 호랑이

오전 3 ~ 오전5 (五更)

() 원숭이

오후 3 ~ 오후 5

() 토끼

오전 5 ~ 오전 7

() 

오후 5 ~ 오후 7

() 

오전 7 ~ 오전 9

() 

오후 7 ~오후 9

() 

오전 9 ~ 오전 11

() 돼지

오후 9 ~ 오후 11




우체국계리직 공무원 시험안내 및 기출문제최신정보 무료로 받아보기



[우정사업본부 = 금융용어 漢字] 핵심정리 – 8. (★★★)

채무증서 (債務證書)(*기출)

별단예금 (別段預金)

상호부금 (相互賦金)

보통예금 (普通預金)

저축예금 (貯蓄預金)

우대세율 (優待稅率)(*기출)

전자금융 (電子金融)

경쟁상품 (競爭商品)(*기출)

피보험자 (被保險者)

과태료 (過怠料)(*기출)

사기 (詐欺)

상정(上程)

부의 (附議)(*기출)

변란 (變亂)

산입 (算入)






[우정사업본부 = 우편&금융 독음 漢字] 핵심정리 – 9. (★★★)


★ 내용문서의 원본 또는 등본이 2매이상 합철(合綴)되는 곳에는 우편날짜도장을 찍거나 

   천공(穿孔)방식 등으로 간인(間印)하여야 한다.


★ 서류우편물의 취급대상에는 항공서간(航空書簡)이 있다.


★ 다량의 기록취급 우편물을 발송하는 자에게는 미리 연기식(連記式) 우편물 접수증 용지를 작성하도록 하고

  우편물과 함께 제출하게 할 수 있다.


★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은 실지명의(實地名義)에 의한 금융거래를 실시하고 있다.


★ 체신관서(遞信官署)는 수입보험료의 일부를 공익급여(公益給與)로 지급할 수 있다.





우체국계리직 공무원 시험안내 및 기출문제최신정보 무료로 받아보기



[우정사업본부] [상용漢字] 단위의 표시  10. (★★)


1) 시간

   술시(): 19~21, 1, 갑야

   해시(돼지): 21~23, 2, 을야

   자시(): 2301, 3, 병야

   축시(): 0103, 4, 정야.

   인시(호랑이): 03~05, 5, 무야

 

2) 날짜    

  (): 초하루, 개월 예)朔日(삭일: 초하룻날), 三朔(삼삭: 3개월)

  (): 7

  (): 열흘 예)旬報(순보: 열흘에 한 번씩 간행되는 신문)

  (): 보름 예)望間(망간: 보름 무렵)

  旣望(기망): 음력 열엿새

  (): 스무날

  (): 그믐날(음력에서 그 달의 맨 마지막날)

 <참고 날포 : 하루 남짓한 시간

             달포 : 한 달 남짓한 시간

             해포 : 일 년 남짓한 시간




 [우정사업본부 = 상용漢字] 한자 성어 핵심정리  11. (★★★)

 수주대토(守株待兎) - 어떤 착각에 빠져 되지도 않을 일을 공연히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.

이는 곧 낡은 관습만을 고집하여 지키고, 새로운 시대에 순응하지 못하는 것을 가리킨 말이다. (*기출)


 격화소양(隔靴搔癢

 신을 신고 발바닥을 긁는다는 뜻에서, 필요한 것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해 성에 차지 않음을 이르는 말. 

   예시)이번에 나온 부동산 정책은 격화소양일 뿐이다. <*기출>

 가을 짐승의 털가리키는 말, 아주 적거나 거의 없는 것을 강조해서 나타낼 때 쓰는 표현 

 추호 [秋毫] 秋毫도 없다 (*기출)


 서로 어금어금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형세  백중지세 伯仲之勢 = 백중세 伯仲勢 (*기출)

 지록위마(指鹿爲馬)  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제 마음대로 휘두르는 짓 <*기출>

 강구연월(康衢煙月)  태평한 세월 <*기출>


 하로동선[夏爐冬扇]  때에 맞지 않아 쓸데없는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 <*기출>




우체국계리직 공무원 시험안내 및 기출문제최신정보 무료로 받아보기



[우정사업본부 = 상용漢字] 전국주소 한자표기 - 12.

전국주소 한자표기

 서울 特 別 市 (특별시) - 25개 자치구 [특별할()/구별할()/도시()]

 

  仁 川 廣 域 市 (인천광역시) - 9개 자치구 [어질()/()/넓을()/지경()/도시()]

 

  大 田 廣 域 市 (대전광역시) - 5개 자치구 [()/()/넓을()/지경()/도시()]

 

  大 邱 廣 域 市 (대구광역시) - 8개 자치구 [()/언덕()/넓을()/지경()/도시()]

 

  光 州 廣 域 市 (광주광역시) - 5개 자치구 [()/고을()/넓을()/구역()/도시()]

 

  蔚 山 廣 域 市 (울산광역시) - 5개 자치구 [풀이름()/()/넓을()/구역()/도시()]

 

  釜 山 廣 域 市 (부산광역시) - 16개 자치구 [ 가마()/()/넓을()/구역()/도시() ]

 

 京 畿 道 (경기도) - 26  5  [ 서울()/경기()/() ]

 

 江 原 道 (강원도) - 7  11  [ ()/근원()/() ]

 

 忠 淸 北 道 (충청북도) - 3 , 8  [ 충성()/맑을()/북녘()/() ]

 

 忠 淸 南 道 (충청남도) - 6 , 9  [ 충성()/맑을()/남녘()/() ]

 

 全 羅 北 道 (전라북도) - 6  8  [ 온전할()/비단()/북녘()/() ]

 

 全 羅 南 道 (전라남도) - 5 , 17  [ 온전할()/비단()/남녘()/() ]

 

 慶 尙 北 道 (경상북도) - 10 , 13  [ 경사()/숭상할()/북녘()/() ]

 

 慶 尙 南 道 (경상남도) - 10 , 10  [ 경사()/숭상할()/남녘()/() ]

 

 濟 州 特 別 自 治 道 (제주특별자치도) - 2  [ 구제할()/고을()/() ]



우체국계리직 공무원 시험안내 및 기출문제최신정보 무료로 받아보기


네이버톡 상담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카카오톡 상담


반응형